[기업소개]
•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 공동창작플랫폼 스토리네이션
[콘텐츠/서비스 소개]
•
독자와 작가가 소통하며 함께 스토리를 완성하는 쌍방향 창작 플랫폼.
•
생성형 AI와 데이터 분석 도구를 활용해 초보자도 쉽게 창작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커뮤니티를 만들어 공동 창작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자유로운 2차 창작을 위해 저작권 회피 생성형 AI기술 개발과 원천 IP 제작을 병행하고 있음.
[강점/차별성]
•
스토리 구조를 이해하는 sLLM 기반 생성형 AI와 유저 반응을 실시간 으로 반영하는 SRS 추천 시스템, 인용률 정량화 기술 등 창작 특화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해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 MVP 단계를 넘어 구 독형 기능과 데이터 기반 자동화 기능까지 상용화한 상태임.
[비즈니스/수익모델]
•
BM: 상품 판매, 유료화, 수수료를 통한 수익 구조
- 수익 모델은 구독형·마이크로페이먼트형 모델을 병행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다음 과 같은 구체적 사업화 전략을 추진 중임.
① 구독형 분석 데이터 상품 - 집필 보조용 분석 리포트, 세계관 확장 분석, 트렌드 예측 기능을 구독형 패키지로 판매 (월 9,900원 / 프 리미엄형 월 19,900원)
② 생성형 AI 유료화 - 표현 추천, 대사 생성, 대화 기반 소설 자동 완성 등 기능별로 토큰 기반 과금
③ 캐릭터 챗 수익모델 - 캐릭터 생성자(작가)와 유저 간 유료 대화 기반 수익쉐어 운영 (자사 수수료 70%)
[주요 시장 & 목표시장]
•
국내외 시장 확대를 위한 단계별 진출 전략을 전개하고 있음.
① 국내 시장에서는 웹소설·웹툰 창작자 커뮤니티 및 작가 교육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신규 유입 기반을 확보하고 있으며,
② 일본 시장은 K-콘텐츠 팬층을 대상으로 테스트 마케팅을 진행 중이며, 일본어 판 서비스 내 UI·UX 및 표현 생성 알고리즘을 현지화하고 있음.
③ 북미 시장은 타파스미디어(카카오 계열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진출 기반을 확보하는 방안을 진행중에 있으며, 팬픽 기반의 글로벌 사용자 타깃으로 캐릭터 챗 기능을 중심으로 빠르게 안착 중임.
•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창작자와 투자자, 플랫폼 사용자까지 연결하는 ‘크로스 미디어 창작 IP 인프라’를 구축하고, 콘텐츠의 수익화를 NFT 및 Web3 기반 보 상 모델로 연계함. 또한 팬덤 중심으로 움직이는 세계관 IP의 연속성 유지하기 위 해서 텍스트-이미지-챗-애니메이션으로 이어지는 확장 구조를 완성하고자 함.
[투자유치]
•
2024년 매출액 : 3천만원
•
투자이력/누적 투자유치액 : 총 21 억원
◦
기 투자사 : (주)카카오인베스트먼트, 마크 벤처투자조합, 비디씨엑셀러레이터 등
•
희망 투자 유치액 : 2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