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으로 세상을 이롭게 Music Makes the Earth a Better Planet🪩
스페이스오디티는 기존 음악 산업의 문제점을 찾아 새로운 솔루션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음악 전문 스타트업입니다. 2017년에 시작한 스페이스오디티는 당시 데이터 기반으로 히트할 수 있는 확률을 높히는 새로운 음원 제작 프로세스를 통해서 '폴킴', '멜로망스'와 같은 아티스트를 발굴하며 총 50억원 이상의 누적 음원 매출을 만들어냈습니다. 또, 음악 업계에 소속없이 흩어져있는 비주얼, 작사, 작곡가 등의 크리에이터들을 네트워크화하는 작업을 통해 프로젝트 기반의 드림팀을 만들어가며 기존의 광고 산업, 음악 산업에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었습니다.
그랬던 스페이스오디티가 새롭게 주목했던 것이 바로 '케이팝 산업'이었습니다.
글로벌과 디지털로 바뀐 산업이지만 여전히 기획사와 아티스트들은 감에 의존하여 만들어내고 있고, 케이팝 팬들은 여전히 공급자 중심의 산업에서 홀대받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2019년에 데이터 기반으로 케이팝 아티스트의 팬덤 규모와 변화량을 대시보드, 차트, 그래프로 볼 수 있는 '팬덤 데이터 관측기, 케이팝레이더'를 런칭했으며 2020년에는 케이팝 팬을 중심으로 설계된 모바일 앱 '케이팝 덕질 비서, 블립'을 런칭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23년 현재. 국내 4대 케이팝 기획사를 비롯한 3천명이 넘는 유수의 음악 업계 종사자들과 글로벌 플랫폼, 정부 관계자들이 해법을 구하고자 찾아오고 → 아이돌이 입점도 하지 않았는데 1만2천개 넘는 케이팝 팬들의 만점 리뷰를 받고 1달만에 10만건이 넘게 글이 올라오는 팬덤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 유일하게 '케이팝을 인텔리전트하게 접근하는 곳'이라고 업계 내에서 평가 받으며 → 케이팝의 미래를 가장 먼저 준비하고 있는 음악 스타트업이 되었습니다.
스페이스오디티는 이런 팀이에요
•
국내 및 글로벌에서 독보적으로 인정 받은 '케이팝 산업'과 '팬덤'에 대한 전문성 및 업계 네트워크 보유
•
IT 서비스, 데이터 분석 뿐 아니라 예능 콘텐츠 제작 능력까지 모두 겸비
•
2021년 구글플레이-중기부가 공동주최하는 '창구프로그램'에서 800개의 스타트업을 누르고 1위를 차지 / 한국콘텐츠진흥원의 ICT 뮤직테크 지원 사업에서 베타서비스와 출시 이후 연속 2회에 걸쳐 1위 차지
•
Twitter, TikTok 등 글로벌 플랫폼들이 먼저 찾아와 공식 계약을 통해 케이팝 10년 역사 발표, 케이팝 컨퍼런스를 개최
김홍기 대표 소개
•
김홍기 대표는 20년 넘게 한국 음악 업계에서 공연부터, 음반 유통, 가수 매니지먼트는 물론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포털 서비스 네이버,카카오 뮤직 서비스를 7년간 담당
•
이후 국내 1위 모바일 메신저 회사의 뮤직서비스를 담당했을 만큼 국내 음악 업계에 다양한 분야의 경험과 노하우, 네트워크 보유
•
모바일 중심의 새로운 변화를 감지하고 모바일 콘텐츠 스타트업으로 뛰어들어 ‘이슬라이브’, ‘세로라이브’등 혁신적인 음악 모바일 콘텐츠를 성공시키며 방송 중심 시스템에서 뉴미디어 성공 사례 구축!!
•
전) 메이크어스 (딩고뮤직) 이사 / 카카오 뮤직 / 네이버 뮤직 / 로엔엔터테인먼트 / 좋은콘서트
창업 동기
•
네이버와 카카오를 거치고 투신했던 콘텐츠 스타트업인 '메이크어스'에서 여러 히트작을 내놓은 뒤에 여러 국내 대기업에서 임원 오퍼를 받던 중 '스노우'의 대표가 입사 제안 도중 돌연 '창업 제안'
•
70년 동안 방송국 중심으로 변화해온 '전속 계약 중심'의 한국의 음악 산업 시스템이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지각변동이 찾아올 것을 예감 → '데이터'와 '네트워크', 'IT' 기반으로 음악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꿔낼 새로운 밸류체인 개발에 집중하는 새로운 형태의 음악 회사를 구상하기 시작
팀 소개 (이름 / 직책 / 주요경력)
•
김홍기 / 대표 / 메이크어스 (딩고뮤직), 네이버, 카카오, 로엔엔터테인먼트, 좋은콘서트
•
이수환 / 이사 / 메이크어스 (커머스), 네이버
•
한혜진 / 마케터 / CJ ENM (K-CON, TVN)
•
최정민 / 그로쓰 / 현대카드
•
최우창 / PM / 퍼블리, 리디
•
정영은 / PM / 카카오
케이팝 인사이트 플랫폼 '케이팝레이더' / 케이팝 덕질 비서 '블립
케이팝레이더
•
•
2023년 B2B 유료 구독 서비스 런칭 예정 (자동 생성 아티스트 활동 성과 리포트)
•
컨퍼런스 '케이팝레이더' https://conference.kpop-radar.com
블립
•
앱 '블립' https://blip.kr
•
•
블립 마켓 https://market.blip.kr
스페이스오디티의 강점과 기회
스페이스오디티
•
글로벌 케이팝 시장의 지속 성장세
•
생산자와 소비자 양쪽의 플랫폼과 콘텐츠, 브랜드 모두 보유
•
이를 통한 각 프로덕트 간의 시너지 플라이휠 구축
케이팝레이더
•
기회 : 케이팝이 산업화가 되어 양질의 인력이 유입되지만 데이터 기반 및 모니터링 시스템 부재로 여전히 . 그러나 MZ 종사자의 적극적인 성장에 대한 관심 증대 → 케이팝레이더의 활동 및 오프라인 행사에 많은 관심을 보임
•
4천명이 넘는 대형 기획사, 대기업, 게임회사, 콘텐츠 회사, 주변 산업의 뉴스레터 운영을 통한 커뮤니티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시범 행사에 1인당 7만7천원 100명 구매 및 참여
•
유료 B2B 서비스인 '자동 생성 활동 성과 리포트 시스템'에 대하여 산업 종사자들의 니즈 확인
•
5년전부터 누적된 케이팝 팬덤 데이터를 유일하게 보유
•
재택 아르바이트의 1일 기준 30분 정도의 신규 DB입력통한 자동 운영으로 리소스 최소화
블립
•
기회 : 아티스트에 대한 추종이 아닌 '나의 행복감', 동시에 2팀 이상 좋아하는 흐름의 '멀티스탠' 등으로 아티스트 중심이 아닌 '나' 중심으로 팬덤 3.0 가속화 중 → 블립의 신규 기능 '팬로그'에 적합
•
아티스트 유료 소통 앱 중심의 팬플랫폼에서 '블립'이 '팬'에 집중되어 설계된 유일한 앱서비스
•
아티스트가 출연하는 콘텐츠 연계된 특전 상품으로 블립 내 독점 판매 및 앱 사용 유도를 통한 신규 유입
•
2023년 일본 현지 '블립 재팬 TF' 발촉으로 온오프라인 마케팅 및 판매 전개
목표시장과 주요 고객
•
글로벌 케이팝 팬덤 8조원 시장
•
블립 : '세계 표준 케이팝 팬덤 플랫폼'을 목표로 국내 및 글로벌 케이팝 팬들 (B2C)
•
케이팝레이더 : 케이팝 기획사를 시작으로 산업내 다양한 밸류체인의 종사자 및 국내외 주변 관련 업계, 연구 학계 및 미디어 종사자 (B2B)
비즈니스/수익 모델
•
블립 마켓 (커머스) : 음반, 굿즈 판매 / 콘텐츠 연계로 특전 상품 독점 판매 / 아티스트 추천템 입점 판매로 확대 (런칭 10개월간 총 6억원 매출)
•
슈퍼 블립 (인앱 구독) : 블립 유료 기능 월 구독 상품 인앱 결제 (2023년 2월 출시) / 아티스트 IP 콜라보 및 팬로그 꾸미기 단건 아이템 판매로 매출 확대
케이팝레이더
•
컨설팅 : 틱톡, 트위터 등 플랫폼과 연구 협업 (누적 총 3억원 매출)
•
B2B 유료 구독 모델 : 1개 회사 당 200만원 예정 (2023년 하반기 출시 예정)
•
오프라인 컨퍼런스 : 1000석 규모의 오프라인 및 글로벌 온라인 중계
주요 성과
•
블립 100만 다운로드 돌파 / 월 20만 MAU
•
블립 팬로그 출시 이후 4개월간 40만건의 포스팅 작성
•
'블립 마켓' 런칭 10개월 간 누적 5억원 이상 기록 / 누적 결제 건 수 4,078건
•
'슈퍼 블립' 런칭 1개월간 유료 구독자 150명 이상 가입
•
2021 구글플레이 중소벤처기업부 '창구프로그램' TOP 1 선정
•
2020, 2023 한국콘텐츠진흥원 뮤직테크 지원사업 1위 2회 선정
•
2020~2021 케이팝레이더, 트위터 및 틱톡 협업
향후 목표
블립
•
3년 내 MAU 500만, 매출 300억원
•
'글로벌 케이팝 팬들의 표준 SNS 플랫폼', '팬덤 대표 브랜드 (서비스, 콘텐츠, 커머스, 굿즈)'로 포지셔닝
케이팝레이더
•
3년 내 매출 : 100억원
•
케이팝 산업 내 '필수 Saas 서비스'로 포지셔닝
•
팬덤 데이터를 시작으로 전세계 케이팝 관련 논문 수집 및 발표, 트렌드 선정 및 발표로 케이팝을 대표하는 가장 권위있는 브랜드, 미디어로 포지셔닝
스페이스오디티
•
소비자인 글로벌 팬덤의 플랫폼과 생산자들의 플랫폼을 동시에 보유하여 양쪽의 트래픽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통해 'IP 공동 개발' 등의 신규 사업 전개
•
3년 내 IPO